10년 전 메두사 조각상이 #미투 예술이 된 과정
광고
지원 대상
일부에서는 지난 2일 공개된 작품의 작가가 남성이라는 점을 비판하기도 했다. 한 후원자는 남성이 대화에 참여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줄리아 제이콥스
예술가 루치아노 가르바티(Luciano Garbati)가 페르세우스의 잘린 머리를 들고 있는 메두사 조각상(수세기 전의 신화를 뒤집은 것)을 만들었을 때 페미니즘은 그가 염두에 두었던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는 #MeToo 운동도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Garbati 씨는 이 운동이 주류로 자리잡기 거의 10년 전인 2008년에 이 작품을 만들었습니다.
이탈리아 출신의 아르헨티나 예술가인 Mr. Garbati는 16세기 청동상인 Benvenuto Cellini의 "메두사의 머리를 가진 페르세우스"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그 작품에서 누드 페르세우스는 뱀 같은 갈기로 메두사의 머리를 들고 있습니다. 가르바티 씨는 메두사의 관점에서 상상하고 괴물 뒤에 있는 여자를 드러내면서 그 이야기를 뒤집을 수 있는 조각품을 구상했습니다.
화요일, 가르바티 씨의 조각품인 "페르세우스 머리를 한 메두사"는 성폭행 피해자들을 위한 승리의 상징으로 재해석되어 센터 스트리트 형사 법원 바로 건너편인 로어 맨해튼에서 공개되었습니다.
보도 자료에서는 이 동상을 “정의의 아이콘”으로 광고했으며, #MeToo 운동 중 성폭행 혐의로 기소된 남성들이 기소된 건물 건너편에 약 7피트 높이의 메두사가 서 있다는 점을 언급했습니다. 지난 2월에는 두 건의 중범죄 성범죄로 유죄판결을 받았습니다. (사이트에 대한 아이디어는 재판보다 앞서 있었지만 감정은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콜렉트 폰드 공원 중앙에 서 있는 메두사는 낮고 강렬한 눈빛으로 왼손에는 검을, 오른쪽에는 페르세우스의 머리를 쥐고 있습니다. 헤드는 아티스트의 이름을 따서 디자인한 편리한 모델입니다.
이와 같은 공공 예술 설치 제안을 검토하는 도시의 Art in the Parks 프로그램에 지원하면서 Garbati 씨는 신화에 따르면 메두사가 아테나 신전에서 포세이돈에게 강간당했다고 언급했습니다. 이에 대한 벌로 아테나는 메두사에게 분노하여 머리카락을 뱀으로 변하게 했습니다. 신청서에는 이 이야기가 “성폭행을 당하면 그것은 그들의 잘못이라는 점을 수천 년 동안 여성들에게 전달해 왔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4월 말까지 동상이 세워질 공원에서 열린 화요일 제막식에서 가르바티 씨는 그에게 조각품에 관해 편지를 보낸 수천 명의 여성들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그 이미지를 카타르시스적인 것으로 보았다고 그는 말했습니다.
그러나 일부 온라인 평론가들에게는 조각품이 그 순간을 제대로 충족시키지 못했다고 합니다. 조각품 설치 계획에 대한 소식이 퍼지자 소셜 미디어의 활동가와 관찰자들은 #MeToo 운동을 기리기 위한 예술 작품(주로 여성들의 개인적인 이야기를 쏟아내며 애니메이션화됨)이 왜 한 작가에 의해 만들어졌는지 궁금해했습니다. 남성.
다른 사람들은 이 조각품이 성폭력을 주제로 한 것이라면 왜 메두사가 자신의 강간범인 포세이돈이 아니라 페르세우스의 머리를 들고 있는지 궁금해했습니다. 그리고 어떤 사람들은 메두사가 괴물로 묘사되었을 때, 고전적으로 아름다운 누드 인물로 메두사를 묘사하기로 한 결정에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가르바티 씨는 인터뷰에서 이제 그의 조각품은 그로부터 일종의 독립성을 갖고 있으며, 외부인의 관찰과 해석에 의해 창조된 그 자체의 생명을 갖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 조각품이 상징으로 선택되었다는 사실이 영광이라고 말하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전체 프로젝트가 자신이 "가부장적 사회의 산물"이라는 사실을 깨닫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었는지 언급했습니다.
신화적 정확성에 대한 질문에 대해 가르바티 씨는 자신의 작품이 메두사를 죽인 후 그녀의 잘린 머리를 무기로 사용하고 그녀와 함께 사람들을 돌로 만드는 그녀의 힘을 활용하는 페르세우스의 이야기를 묘사한 첼리니의 조각품에 대한 직접적인 반응이라고 말했습니다. 응시.
메두사의 모델 같은 인물과 관련하여 가르바티 씨는 비평가들이 기원전 5세기부터 메두사의 예술적 묘사가 짐승 같은 모습에서 아름다운 모습으로 어떻게 변모했는지를 기록한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최근 전시회에 나온 문헌을 고려할 것을 제안합니다.